[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품어시고 사랑으로 하시는 말씀에 감동

품어시고 사랑으로 하시는 말씀에 감동

하나님의 사람으로 빚어지는 과정에서 때로는 말씀의 기준으로 책망하시며 바른 길로 이끄실 때도 있지만, 어떤 때는 하나님의 크신 사랑으로 품으시고, 말씀으로 깨닫게 하시는 은혜가 있습니다. 오늘 새벽예배 본문인 누가복음 7장 36-50절 말씀은, 그 사랑과 깨달음이 얼마나 깊고 감동적인지 보여줍니다.

바리새인 시몬이 예수님을 자기 집에 초대해 식사를 대접합니다. 그런데 그 자리에 초대받지 않은 한 여인이 찾아옵니다. 동네에서 죄인으로 소문난 여자, 향유 담은 옥합을 들고 와서 예수님의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발을 적시고, 자신의 머리털로 닦고, 발에 입을 맞추며 향유를 붓습니다.

이 모습을 본 시몬은 속으로 중얼거립니다.
“저 사람이 선지자라면, 저 여자가 누구인지, 어떤 죄인인지 알았을 텐데…”

그 마음을 아신 예수님께서 시몬을 부드럽게 부르십니다.
“시몬아, 네게 할 말이 있다.”

예수님은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빚진 자 둘이 있는데, 한 사람은 500데나리온, 다른 한 사람은 50데나리온을 빚졌다. 둘 다 갚을 능력이 없어 탕감받았다면, 누가 더 감사하고 사랑하겠느냐?”

시몬은 “많이 탕감받은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했고, 예수님은 “옳다” 하시며 시몬의 시선을 여인에게 돌리십니다.

“이 여자를 보아라.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머리털로 닦았다. 너는 내게 입 맞추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끊임없이 내 발에 입 맞추었다. 그러므로 이 여자의 많은 죄가 사함받았다. 이는 그 사랑함이 많음이라.”

예수님은 여인에게 말씀하십니다.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오늘 본문에 나오는 시몬은 베드로가 아니라, 당시 흔한 이름으로 ‘갈대’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름처럼 시몬은 흔들리는 기준 위에 서 있습니다. 자기 의를 기준 삼아, 남을 쉽게 판단하고 정죄하는 바리새인의 전형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시몬을 나무라지 않으시고, 부드럽게 “시몬아” 하고 부르십니다. 사랑으로 깨닫게 하시며, 죄 용서받은 기쁨이 어떤 것인지, 지옥의 유황불에서 건져진 기쁨이 얼마나 큰지 알려주십니다.

어제 새벽예배에서 옥에 갇힌 세례요한이 예수님께 의심의 질문을 보냈을 때, 예수님은 직접 꾸짖지 않으시고, 이사야 말씀을 인용해 “그래, 내가 바로 그리스도다. 힘내라” 하신 그 장면이 오버랩됩니다.

오늘도 예수님은 스스로 의롭다 여겨 남을 쉽게 정죄하는 나를 부드럽게 부르시며, 죄 사함의 기쁨과 구원의 감격을 다시금 깨닫게 하십니다. 그 크신 사랑 앞에 하염없이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