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악인의 형통함을 보고 시험 들 뻔하다

 

악인의 형통함을 보고 시험 들 뻔하다

많은 성도들이 신앙생활을 하다가 낙심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의 형통함을 보면서 의문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매주 예배 빠지지 않고 드렸는데도 왜 이렇게 안 풀릴까요?”
“교회 안 다니는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돈도 더 잘 벌고, 자녀들도 더 잘되는 것 같아요.”

이런 생각을 하며 신앙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편 기자의 고민

이런 고민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시편 73편에서도 시편 기자는 같은 의문을 품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을 신실하게 섬기는데, 악인들은 오히려 더 잘 사는 것 같다.”

그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의 형통함을 보고 “넘어질 뻔했다”, 즉 시험 들 뻔했다고 고백합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흔히 겪는 고난도 겪지 않고, 몸도 건강하며, 재물도 풍족합니다.
마치 신자보다 더 강하고 더 잘 나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신앙의 딜레마

성도들은 주일 예배뿐 아니라 십일조와 각종 헌금을 드리며, 수요예배, 금요철야예배, 새벽예배까지 참석합니다.
더 나아가 금식하며 기도하고, 말씀을 묵상하는데도 원하는 응답이 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이렇게 하는데도 하나님은 왜 아무 반응이 없으실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신앙에 회의가 찾아옵니다.

성소에 들어갈 때 깨달음

그러나 시편 기자는 성소에 들어갈 때 비로소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합니다.
즉, 하나님 앞에 나아가고 하나님을 만날 때 진실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세상의 형통함이 영원한 것이 아니며, 하나님을 떠난 자들의 결국은 심판과 멸망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믿음의 길

믿음은 하나님이 내 삶에 즉각적인 응답을 주시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알고 그분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하지 않는 것이 참된 신앙이며,
나를 성전 삼고 계신 예수님을 찾고 또 찾는 것이 믿음의 본질입니다.

결국 하나님을 바라보는 자에게 주어질 상은 이 세상의 부귀보다 크고, 영원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눈앞의 형통함에 흔들리지 않고, 하나님을 신뢰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