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찾아오심의 깊은뜻 아시나요?

 

찾아오심의 깊은뜻이 있는데 알고 싶지 않으세요? 기독교 외의 여러 종교들은 신이라는 존재 앞에 나아감으로써 해탈이나 열반에 이르는 경지에 도달한다고 여겨지지만, 기독교는 하나님께서 직접 찾아오신다는 점에서 큰 차별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 새벽예배의 본문은 누가복음 1장 67절에서 76절까지의 내용입니다. 오늘 새벽예배에서 누가복음을 시작했는데, 이는 누가복음 1장의 뒷부분에 해당합니다. 

누가복음은 잘 알려진 대로, 이방인 의사인 누가가 예수님을 믿고 사도 바울의 2차 전도여행에 합류하여 복음 전도자로서 바울의 주치의로서 함께 하며 성령의 감동을 받아 기록한 귀중한 문서입니다. 

 의사인 누가는 세밀하고 꼼꼼하게 기록했으며, 이는 모든 이방 그리스도인들과 특히 데오빌로라는 로마 관리에게 보내는 복음의 편지로 볼 수 있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아비야 반열의 제사장 사가랴와 그의 아내 엘리사벳은 세례 요한의 부모입니다. 엘리사벳은 아들을 낳으면 요한이라는 이름을 받아들이겠다고 하지만, 사가랴는 이를 이해하지 못해 잠시 벙어리가 됩니다. 

아들이 태어난 지 팔일 만에 사가랴는 할례를 하러 가면서 자신의 이름을 따르려 하지만, 엘리사벳은 요한이라고 주장합니다. 결국 사가랴도 엘리사벳의 주장을 받아들여 서판에 요한이라고 기록하게 됩니다. 

이 장면에서 남편이 아내의 말을 따르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그 후, 벙어리가 되었던 사가랴의 혀가 풀리면서 하나님을 찬양하게 됩니다(64절). 

오늘 새벽예배의 본문은 세례 요한의 아버지가 혀가 풀리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내용입니다. 그는 "찬송하리로다, 이스라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라고 찬양하는데, 여기서 '돌보사'라는 원어의 의미는 '찾아오심'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먼저 찾아오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속량, 구원의 뿔, 거룩, 긍휼, 언약이라는 단어들을 나열하며, 이는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실 예수님이 오실 것이라는 언약의 말씀을 이루심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어제 주일 담임목사님께서 말씀하신 내용과 일치하여 새삼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고통 소리를 하나님께서 들으시고,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약속하신 언약을 기억하셨습니다(출애굽기 2장).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고통을 들으시고 언약을 기억하시며 찾아오셨습니다. 우리가 연약하고 죄인일 때, 세상에 빠져 원수가 되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언약을 기억하시고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이 세상에 보내셨습니다. 

예수님은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으로서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를 담당하시고 피 흘려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그리스도가 되셨습니다.

 따라서 누구든지 육체로 오신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믿을 때, 하나님께로 난 자가 되는 구원의 길이 열리게 됩니다(요일 5장 1절). 

'예수는 그리스도이십니다'라는 고백을 수없이 되새기며, 십자가 아래에서 묵상하고 다짐하면서 이번 주에도 언약을 기억하고 십자가의 사랑으로, 예수님으로 시작하기로 마음먹고 활기찬 월요일 아침을 맞이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