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진정한 기쁨에 대한 생각

 진정한 기쁨에 대한 생각을 해 보기는 하지만 쉽게 또 잊어버리기에 시간을 가지고 생각을 해 봅니다.


요즈음, 현재 건축 경기가 침체되어 모든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물가가 치솟아 장을 보는 것이 두려울 정도로 힘든 상황이죠.


설 연휴를 맞아, 이 시기에 함께 나누고 싶은 말씀들이 있습니다. 가족과 친지들이 모이는 소중한 자리에서 감사, 행복, 기쁨, 축복 등의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는 마음이 듭니다.


아침 식사를 하면서 주님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해 보았습니다. 사랑하는 아내가 정성껏 준비한 반찬과 국, 밥이 입맛이 없던 저에게도 충분한 맛을 선사해 주었죠. 아내의 따뜻한 밥상을 받으며 느끼는 행복은, 알고 보면 주님이 주시는 기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행복의 유래

요즘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행복(happiness)'이라는 단어는 'happen'에서 유래된 것 아시죠? 'happen'은 '우연히 일어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경험하는 행복이 정말 우연히 발생하는 것일까요?


기쁨의 유래

우리는 행복을 찾고 누리려 하지만, 성경에서는 우연히 발생하는 행복이라는 표현보다는 '기쁨'과 '축복'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축복'이라는 영어 단어 'blessing'은 'blood(피)'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네요. 피의 제사를 통해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고, 십자가에서 흘리신 예수님의 피가 믿는 자들에게 진정한 축복이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복에 대한 말씀은 매우 많습니다.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우연히 발생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사실은 모두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 속에 있음을 나중에 깨닫게 됩니다.


진정한 기쁨

"내 기쁨이 너희 안에 있어 너희 기쁨이 충만하게 하려 함이라" (요한복음 15:11)라는 말씀처럼, 예수님께서 누리셨던 기쁨을 단순히 '행복'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모독일 것입니다. 예수님의 기쁨은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희생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그 기쁨이 우리 안에 충만하기를 원하셨지만, 우리는 종종 외부의 환경에서 오는 기쁨, 즉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곤 하죠.


진정한 기쁨은 내 안에 오신 예수님을 인정하고 알아가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그 예수님을 힘든 상황 속에서도 바라보는 것이 기쁨의 근원일 것입니다. 나의 기분에 따라 오는 기쁨은 갈대처럼 흔들릴 수 있지만, 주님으로부터 오는 기쁨은 갈대상자와 같습니다. 갓난아기 모세가 갈대상자에 담겨 강물을 따라 흘러가다가 바로 공주 앞에 도달한 것처럼, 주님은 우리를 기쁨과 소망, 평안의 자리로 인도하십니다.


믿음으로 주님이 내 안에 계신 지금, 생수가 흐르고 있습니다. 나는 기쁨을 만들어내는 제조자가 아니라, 주님이 주시는 생수가 흐르는 통로로서 축복이 흘러가는 통로로 존재할 뿐입니다. 자랑할 것도, 교만할 것도 없으며, 그저 주님의 기쁨의 통로일 뿐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