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하갈과 이스마엘을 내보내만 했던 이유를 아시나요?

 

하갈과 이스마엘을 내보내야만 했던 이유 (창세기 21:9-11)

창세기 21장에서 아브라함과 사라는 약속의 자녀인 이삭을 얻습니다. 그러나 사라가 이삭을 키우는 과정에서 하갈의 아들 이스마엘이 이삭을 놀리는 장면을 목격하게 됩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가정 내 갈등이 아니라, 영적 의미와 하나님의 구속사적 계획이 담긴 중요한 장면입니다.

1. 종의 자녀와 약속의 자녀의 구분

하갈은 사라의 여종으로, 그녀의 아들 이스마엘은 사람의 방법과 인간적 수단으로 태어난 자녀였습니다. 갈라디아서 4장에서 사도 바울은 하갈과 이스마엘을 율법과 종의 자녀로 비유하며, 이들은 하나님의 약속과 은혜로 태어난 자유의 자녀 이삭과 함께 유업을 이을 수 없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율법과 은혜의 대조이며, 행위와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2. 종의 자녀의 특징과 영적 의미

종의 자녀는 항상 눈치를 보고, 두려움 속에 살아갑니다. 스스로의 행위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자유가 없고, 죄성과 육신의 본성 아래 눌려 있는 존재입니다. 하갈과 이스마엘이 상징하는 율법 아래의 자녀는 인간적 방법과 수단으로 구원을 이루려 하지만, 이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과 맞지 않습니다. 결국 이들은 영적 유업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습니다.

3. 이삭을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의 은혜

이삭은 아브라함이 100세에 얻은 아들로,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진 약속의 자녀입니다. 이는 인간의 행위가 아닌 100%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주어진 새 생명이며, 복음의 예표입니다. 이삭은 자유의 자녀로서 하늘의 기업을 이을 자이며, 하나님이 친히 주신 생명의 상징입니다.

4. 예수 생명과 새 생명으로 연결되는 구속사적 의미

이삭을 통해 나타난 새 생명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됩니다. 예수는 완전한 하나님의 생명으로, 인간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구원의 핵심입니다. 믿음 생활은 단순한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을 가진 자로 하나님과 함께 사는 삶입니다. 이 과정에서 육체적 욕심과 인간적 수단, 즉 하갈과 이스마엘과 같은 요소들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합니다.

5. 영적 걸림돌로서의 하갈과 이스마엘

하갈과 이스마엘은 영적 싸움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율법적 사고방식과 인간적 노력은 약속의 자녀인 이삭, 즉 은혜로 사는 믿음의 삶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내어 좇으라"고 명령하시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오직 은혜와 약속의 자녀를 통해 완성됨을 분명히 하십니다.

결론

하갈과 이스마엘을 내보내는 사건은 단순한 가정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수단과 하나님의 약속이 함께 공존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영적 메시지입니다. 약속의 자녀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존재할 수 있으며, 믿음의 삶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생명적 교제로 완성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