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이미지
[고난주간]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는 삶 “죽음을 자주 생각하면, 오히려 삶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바쁘게만 흘러가는 세상에서, 우리는 죽음을 외면한 채 살아갑니다. 하지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이며 언젠가 반드시 마주하게 될 문턱이죠. 죽음을 부정하는 사회,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병실에서, 장례식장에서, 뉴스 속에서... 우리는 늘 죽음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일처럼 여겨지진 않죠. “아직은 아닐 거야”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이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죽음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부정하거나 외면하기보다는, 오히려 준비하는 삶 이 더 지혜로운 삶이라 말할 수 있어요. 삶은 유한하지만, 준비된 죽음은 축복입니다 한 노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살아 있는 것을 감사하고 죽음을 대비한다." 그는 유언장을 정리했고, 마지막 순간에 누구를 만나 어떤 말을 전할지도 적어두었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문 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단지 재산 분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 내 삶의 가치를 돌아보며 내려놓을 것과 붙잡을 것을 구별하는 과정 입니다. 신앙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는 삶 성경은 말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그때를 두려움 없이 맞이하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영혼을 준비하는 삶 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보다 먼저 죽음을 통과하셨고, 부활의 첫 열매가 되어주셨어요 . 그분을 믿는 사람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시작 입니다. 죽음을 묵상하는 자는 삶을 더 진지하게 삽니다 ...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예배는 단순한 종교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리는 영적 행위입니다. 성경에서는 예배를 하나님께만 드려야 하는 거룩한 행위로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성경적 예배란 무엇이며, 어떻게 드려야 할까요?

본 글에서는 예배의 의미, 올바른 예배 방법, 예수님이 원하시는 예배, 그리고 삶에서의 예배 실천 방법을 성경 말씀을 기반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예배의 의미: 성경적 정의

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경외심을 표현하는 행위입니다. 성경에서는 예배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히브리어와 영어에서 본 예배의 뜻

  • 아바드(עָבַד): ‘예배하다’, ‘섬기다’, ‘엎드리다’라는 뜻을 가짐.
  • Worship(워십): ‘가치(Worth) 있는 존재에게 경배(Ship)를 드리는 행위’.

즉, 기독교 예배는 창조주이자 구속주 되신 하나님께 합당한 영광과 찬양을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예배의 대상: 오직 하나님께만 드리는 경배

예배는 사모하는 마음과 간절한 믿음으로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예배를 드리는 올바른 자세

  • 겸손한 마음 (마태복음 5:3): 심령이 가난한 자가 하나님 나라를 소유함.
  • 믿음으로 하나님을 만남 (히브리서 11:6):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분이 살아 계심을 믿어야 함.

오직 하나님을 예배의 중심으로 삼고, 세상의 가치가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예배해야 합니다.


3.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예배란?

예수님은 우리에게 “신령과 진리로 예배하라”(요한복음 4:23~24)고 말씀하셨습니다.

  • 신령(神靈, Spirit): 하나님의 영(성령) 안에서 드리는 예배
  • 진리(眞理, Truth): 예수 그리스도와 말씀에 기초한 예배

또한 사도 바울은 **“몸을 산 제물로 드리는 것이 영적 예배”**라고 했습니다(로마서 12:1). 즉, 예배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삶 전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4. 예수님을 통한 예배의 핵심 요소

기독교 예배의 중심에는 십자가 복음이 있습니다.

  1. 십자가의 대속(에베소서 1:7): 예수님의 피로 죄사함을 받음.
  2. 부활(요한복음 11:25~26): 부활하신 예수님을 믿음으로 구원의 확신을 가짐.
  3. 승천(사도행전 1:9~11): 예수님이 승천하시고 다시 오실 것을 믿음.
  4. 재림(요한계시록 19:8): 신부된 교회가 깨끗한 옷을 입고 재림을 준비해야 함.

이러한 신앙을 바탕으로 **믿음(信), 소망(望), 사랑(愛)**을 실천하는 것이 참된 예배의 본질입니다.


5. 예배의 3가지 필수 요소

예배는 세 가지 핵심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1. 기도: 예배 전 기도로 준비하고, 대표 기도를 통해 공동체가 한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감.
  2. 찬송(시편 22:3): 하나님은 찬양 중에 거하시며, 찬송을 통해 영광 받으심.
  3. 말씀(데살로니가전서 2:13):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것이 진정한 예배.

이 세 가지 요소를 충실히 지킬 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가 됩니다.


6. 삶의 예배: 교회 밖에서도 지속되는 신앙

참된 예배는 교회에서만 드리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실천되어야 합니다.

  • 세상의 가치관을 따르지 않음 (로마서 12:2):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며 살아야 함.
  • 믿음을 행동으로 실천함: 예배 후에도 말씀대로 살며, 신앙을 일상에 적용해야 함.

삶 속에서 예배의 정신을 이어갈 때,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욱 깊어지고 온전한 신앙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7. 예배의 끈을 놓지 말라: 예배의 중요성

예배는 하나님과 교제하는 가장 중요한 시간입니다.

  •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가 삶의 예배로 연결되어야 함.
  • 하나님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함.

어떠한 상황에서도 예배를 포기하지 말고,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하나님을 찾는 것이 신앙의 핵심입니다.


결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참된 예배를 드리자

기독교 예배는 형식적인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영적 시간입니다.

올바른 예배를 위해 기억할 점

  •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예배
  • 신령과 진리로 예배드리는 태도
  • 삶 속에서도 지속되는 예배

지금 이 순간, 하나님 앞에 온전히 나아가 참된 예배자로 살아가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